최초 공개 시리즈 2탄, 계산문제: 부동산「공인중개사」자격증(1차+2차)2주만에 동차 합격자의 핵심 정리 노하우<부동산학개론 2탄>

오늘은 공개 시리즈 2탄으로 부동산학개론의

「입지 및 공간구조론」의 chapter에서 W. Reilly의

‘소매인력법칙’ 3문제,

D. L.. Huff의 ‘상권분석모형’ 3문제,

P. Converse의 ‘분기점 모형’ 1문제에 대해, 자세하고

쉬운 풀이 해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1. W. Reilly의 ‘소매인력법칙’

1) 정의

W. Reilly의 ‘소매인력법칙’은 예를 들어

A도시와 B도시의 중간에 C도시가 있을 때,

C도시의 소비자에 대해

A,B의 상권이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는

A, B도시의 인구수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것을 말한다.

2)-1 기출문제

레일리1

<공식>

① 핵심은 구매지향비율(=인구유인비율)이다.

B도시에 대한 A도시의 (구매지향비율은 인구수X거리)의 제곱이다.

(50,000÷100,000) X (10km÷5km)의 제곱=2/1

② C도시인구 30,000명 X (2÷3)=20,000명(A도시)

그러면 B도시 경우는 30,000명-20,000명=10,000명이다.

2)-2 기출문제

레일리2

<공식>

위와 동일하다.

① 핵심은 구매지향비율(=인구유인비율)이다.

B도시에 대한 A도시의 (구매지향비율은 인구수X거리)의 제곱이다.

(400,000÷100,000) X (5km÷10km)의 제곱=1/1

② C도시인구 50,000명 X (1÷2)=25,000명(A도시)/

B도시 경우는 50,000명-25,000명=25,000명이다.

2)-3 기출문제

레일리3

<계산 방법>

(10,000÷5,000) X (2km÷1km)의 제곱=8/1

② C도시인구 9,000명 X (8÷9)=8,000명(A도시경우)

그러면 B도시 경우는 9,000명-8,000명=1,000명이다.

2. D. L.. Huff의 ‘상권분석모형’

1) 정의

① D. L.. Huff의 ‘상권분석모형’은 ‘소매입지이론’이라고 한다.

그는 W. Reilly의 ‘소매인력법칙’을 원용한다.

② 이는 소비자의 구매행동에서 구매확률을 구하는 방식이다.

③ 또한 Huff는 거리마찰계수를 중시한다.

④ 따라서 특정 상점을 이용하는 이용객의 수는

2)-1 기출문제

허프1

예를 들어, 거주지 A에서 상점 B(쇼핑센터1)와

C(쇼핑센터2)를 이용하는 경우,

B이용객의 수를 구하기위한 B의 시장점유율을 구하려면, 아래를 주목해야 한다.

<문제풀이>

{1000÷5의 2승(제곱)}÷ [{1000÷5의 2승}+ {1000÷10의 2승}]=0.8

그래서 B이용객 수는 1,000명 X 0.8=800명이다.

2)-2 기출문제

허프2

<문제풀이>

B할인점 이용객 수를 구하려면, 먼저 시장점유율을 구한다.

{20,000÷20km의 2승}÷ [{5,000÷10km의 2승}+ {20,000÷20km의 2승}]=0.5

따라서 이용객 수는 C도시 전체 30만명 X 0.5 X 0.6(할인점 이용 비율)=9만명이다.

2)-3 기출문제

허프3

<문제풀이>

B할인점 이용객 수를 구하려면,

먼저 시장점유율(=구매자가 방문할 확률)을 구한다.

{500 ÷ 5km의 2승}÷

[{500 ÷ 5km의 2승}+ {300 ÷ 10km의 2승}

+{450 ÷ 15km의 2승}]=0.8

따라서 이용객 수는 X도시 전체 4,000명 X 0.8=3,200명이다.

따라서 월 추정 매출액은, 1인당 월 할인점 소비액 35만원 X 3,200명=11억 2,000만원이다.

3. P. Converse의 ‘분기점 모형’

35회 기출문제

1) 정의

P. Converse의 ‘분기점 모형’은 구매지향비율에 의한

지향점이 같은 곳이 상권의 경계점이 된다.

A와 B도시가 있으면, A상권의 지향점(=경계 지점)은

레일리의 소매인력법칙을 응용한 아래 공식이 적용된다.

2) 기출문제(35회)

컨버스1

A도시로부터 지향점(경계점) = A-B 도시 간의 거리 ÷ {1+(루트√ B도시 인구÷A도시 인구)}

45km÷(1+√21만명 ÷ 84만명)=30km

요약 및 정리

1. W. Reilly의 ‘소매인력법칙’의 핵심 공식은,

도시의 인구수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2. D. L.. Huff의 ‘상권분석모형’은,

상점의 규모(매장면적)에 비례하고,

거리의 마찰계수 승에 반비례한다.

3. P. Converse의 ‘분기점 모형’은, A와 B도시에서

A도시로부터 지향점 = A-B 도시 간의 거리

÷{1+(루트√ B도시 인구÷A도시 인구)}이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