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3 통신사의 비교를 통한 유익한 방안 찾기 (예시: 베트남의 경우)
<2025년 7월 기준>
서론
해외 여행을 위해서는 반드시 로밍 서비스를 활용해야 한다.
물론 이동식 WIFI를 활용 할 수 있으나,
비용 부분에서 차이가 있고 음성 통화나 SNS, 문자 받기,
금융 인증 등을 위해서 로밍(ROAMING)이 좀 더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본 포스팅은 국내 통신 3사를 비교해서
각자 자신이 가입한 통신사를 통해서 로밍 서비스를 확인하고,
어떤 로밍 상품에 가입할지와 현지 eSIM을 등록하는 것과 단독
현지 유심만 사용하는 것에 대해 그 차이에 대한 정보를 드리고자 한다.
1. 음성 로밍
1) LGU+ 로밍
① 한국에서 걸려온 전화를 외국에서 받는 경우(로밍 시): 무료
로밍하지 않을 시: 받을 때 1초 27원/ 1분: 1,620원
② 외국에서 한국으로 전화한 경우
로밍 시: 1초 1.98원/ 10분: 1,188원
로밍하지 않을 시: 걸때 1초 23.8원, 1분 1,428원
③ 휴대전화, 일반 유선전화, 대표번호(특수 번호): 1.98원/
LGU+ 로밍센터 대표번호 (+82 2 3416 7010)무료
④ 1개의 로밍 상품에 가입하고 3,000원 추가 부담 시
총 4개의 전화 번호 로밍 결합 등록 가능: 데이터 공유되고, 로밍
음성 통화 요금으로 인정
⑤ 자세히 GO >> LGU+ 로밍
2) KT 로밍
① 한국에서 걸려온 전화를 외국에서 받는 경우(로밍과 무관)
1초: 1.98원 10분: 1188원 수신 문자 무료/ 발신 SMS 22원
✽ 음성 수 발신 일 11,000원 상품 있음
② 외국에서 한국으로 전화한 경우
1초: 1.98원 10분: 1188원
③ 해외에서 한국으로 전화시 무료 (+82 2-2190-0901)
④ 자세히 GO >> KT 로밍
3) SKT 로밍
가. baro 통화
① 에이닷 전화(구 T전화) 앱을 실행하면
한국과 방문한 국가에 거는 전화와 모든 수신 통화는 무료로 이용 할 수 있다.
(단, 3국으로 거는 전화는 제외됨)
② 네트워크 상태가 좋지 않으면,
일반 로밍 음성 통화로 연결된다.
③ 안드로이드 에이닷 전화(구 T전화) 앱 13.0.0 이상/
iOS 에이닷 전화(구 T전화) 앱 8.0.0 이상 버전을 사용하면 가능하다.
④ 데이터 로밍 요금제 가입 후
해외에서 데이터 또는 Wi-Fi에 접속해서 사용해야 한다.
⑤ 자세히 GO >> SKT 로밍
나. 로밍 문자 수신/ 발신
모두 무료(baro 요금제 가입 시)
다. 일반 로밍 음성 통화
① 한국에서 걸려온 전화를 외국에서 받는 경우
3분 무료이고, 그 후 요금 부과한다.
1초: 16.5원 1분: 990원
② 외국에서 한국으로 전화한 경우
1초: 13원 1분: 785원
③ 해외에서 로밍 폰 사용시
+82-2-6343-9000로 걸면 무료이다.
2. 데이터 로밍
1) LGU+ 로밍
4GB 30일 29000원/ 17GB 30일 44000원/ 27GB 30일 59000원
(한시적, 로밍패스 프로모션 기간: 2025년 7월15일 ~8/31일)
2) KT 로밍
① 15일 4GB 33,000원/ 30일 8GB 44,000원/ 12GB 66,000원
② 만34세 이하(최대 5명): 15일 5GB 19,800원/
30일 9GB 26,400원/ 30일 13GB 39,600원
3) SKT 로밍
baro 3GB 30일 29000원/ baro 6GB 30일 39000원/ baro 12GB 30일 59000원
통신 3사 | 음성 로밍 | 데이터 로밍 | 장점 |
---|---|---|---|
LGU+ | 걸때>1초 1.98원/ 10분: 1,188원 | 17GB 30일 44,000원(한시적) 8/31까지,보통 8GB | 전화 받을때 무료, 3000원 추가시 4개의 전화번호 데이터 공유가능 |
KT | 걸때>1초 1.98원/ 10분: 1,188원 | 8GB 30일 44,000원 | 로밍 없는 상태일 때도 음성 전화저렴 |
SKT | 걸때>1초 1.98원/ 10분: 1,188원 | baro 6GB 30일 39000원 | baro요금제 가입과 에이닷 설치시 전화요금 무료 |
3. 해외 현지 유심만 사용하는 경우
1) 장점
① 데이터 및 통화 요금이 저렴하다.
② 현지인과의 통화나 현지 서비스
(은행 앱, 택시 앱, 배달 앱등) 이용이 쉽다.
③ 가성비 좋은 데이터 용량을 사용 할 수 있다.
2) 단점
① 은행 앱 등의 본인 인증 절차에 문제가 발생한다(휴대 전화를 통한 인증이 불가하다).
② 한국으로 전화하는 국제 전화 요금 비용이 많고, 카톡 등의 앱의 전화가 원활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4. 국내 유심과 이심(eSIM)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1) 장점
① 한국 유심이 활성화 된 상태에서 베트남 esim을 사용하므로, 한국에서 오는 전화를 받을 수 있다.
② 한국 유심 인증이 필요한 은행 앱의 인증이나, 카톡 등 SNS인증이 용이하다.
③ 필요에 따라 통화 및 데이터 사용을 분리하고 일부 공유할 수 있다.
2) 단점
① eSIM으로 현지 통화나 문자를 모두 사용 할 시는 추가 요금의 옵션을 고려해야 한다.
② eSIM을 지원하는 스마트 기기를 준비해야 한다.

요약 및 결론
1. 해외에서 로밍 상품을 가입 시에는,
현지에 가서 국내와 통화의 빈도를 고려하고 금융 및 SNS를
얼마나 자주 하는지를 고려해서 로밍 상품을 가입하는 것이 좋다.
또한 체류 기간을 고려해서 한 달 정도 체류한다면, 8GB에서 12GB 정도의 로밍 상품에 가입하는 것이 좋다.
또한 현지 그 나라의 은행 계좌가 있다면, 베트남의 경우는 QR결제를 위해서 현지 은행 앱을 활성화해야 한다.
2. 따라서 국내 금융 앱의 사용과 음성 통화를 위해서나,
베트남 현지의 은행 앱과 택시 결제, 배달 결제를
활용하기를 원한다면, 한국 유심에 로밍 상품을 가입하고
현지 eSIM을 등록하고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